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도약계좌, 19~34세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혜택

by 새벽거북이 2024. 1.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핵심만 요약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2023년 6월에 출시한 사회초년생 저축 장려 정책 지원 상품으로,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우대지원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정부기여금을 금액별로 매칭하여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가입 자격

가입자 연령: 만 19세 ~ 34세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월 소득: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가입 기간 및 한도

2024년 1월 신청 기간: 1월 1일 ~ 1월 12일 1인 가구의 경우:

1월 18일 ~ 2월 8일 월 납입 한도: 1,000원 ~ 70만원 최대 한도: 4,200만원

 

금리 및 이자

기본 금리: 4.5% ~ 6%

만기 시 이자율: 기본 금리 + 정부지원금 예: 월 납입액 50만원, 5년 만기 시 이자율 5.5%, 정부지원금 2.3만원/월일 경우, 만기 시 이자액은 2,100만원 정부지원금

연 소득별 정부지원금 지급 한도 및 비율 2,400만원 이하: 월 40만원, 6% 3,600만원 이하: 월 50만원, 4.6% 4,800만원 이하: 월 60만원, 3.7% 6,000만원 이하: 월 70만원, 3% 중도 해지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취급 기관

서민금융진흥원

11개 은행 (KB국민, 부산, 신한, 대구, KEB하나, 광주, 우리, 전북, NH농협, 경남, IBK기업, SC제일은행)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혜택

정부지원금: 최대 360만원

비과세 혜택: 만기 시 이자 소득 비과세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좋은 정책입니다. 특히, 정부지원금을 최대한 받기 위해서는 연 소득이 낮을수록 유리합니다. 만약,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가입 자격과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